Discover오타쿠 대학원생들의 수다[2025-2학기 일본신앙편] 귀멸의 칼날: 영웅서사 뒤의 불편한 진실
[2025-2학기 일본신앙편] 귀멸의 칼날: 영웅서사 뒤의 불편한 진실

[2025-2학기 일본신앙편] 귀멸의 칼날: 영웅서사 뒤의 불편한 진실

Update: 2025-09-14
Share

Description

[스포일러 주의]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!
안녕하세요,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, 오대수입니다 :)
이번에는 많은 분들이 사랑하시는 귀멸의 칼날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.
저희도 작품에 대한 애정이 크다 보니, 녹음이 조금 길~어졌네요 ㅎㅎ

비판도, 응원도 모두 감사히 받아들입니다.
그것을 위한 팟캐스트니까요.
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어요.
!!하지만 악의적인 댓글, 무례함엔 채널주도 참지 않긔!!


<References>
* Suga, M. (1995). Exotic west to exotic Japan: Revival of Japanese tradition in modern Japan. In J. Eicher (Ed.), Dress and ethnicity: Change across space and time (pp. 98–110). Berg.
* 김정희. (2022). ‘귀멸의 칼날’에 나타난 내셔널리즘: 『일본서기』 신화와 욱일기. 아시아문화연구, 58, 49-70.
* 김정희. (2023). 귀멸의 칼날과 욱일기. 글로벌 정보 일본, 1, 57-61.
* 노윤선. (2021). ‘일본 국민 만화’ 「귀멸의 칼날」의 영화 속 욱일기와 사무라이 정신. 일본문화연구, 79, 95-116.
* 박신영. (2023). ‘귀멸의 칼날’과 일본 신화를 통해 본 욱일기의 의미: 아메노이와야(天石屋) 신화를 중심으로. 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, 12(4), 549-565.
* 박인성. (2023). 한국과 일본의 정서적 마스터플롯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 비교 연구: <오징어 게임>과 『귀멸의 칼날』을 중심으로. 국제어문, 98, 699-730.
* 박이진, & 김병진. (2021). <귀멸의 칼날> 속 ‘경계’ 이야기: 다이쇼 모노가타리의 탄생. 일본문화연구, 79, 137-159.
* 설화에 나타난 일본의 오니(鬼)와 한국의 도깨비 비교 연구. (연도 미상). 인문논총, 71-95.
* 우미영. (2021). 트랜스휴먼의 형상과 변이로서의 신체: 김혜진의 [비트루비우스 인간]과 이종산의 [커스터머]. 여성문학연구, (54), 392-426.
* 이호영. (2011). 일본 만화 <彼岸島 (Higajima)>와 아시아적 생산양식: 아시아적 생산양식의 정치구조와 투쟁. 만화애니메이션연구, (25), 109-132.
* 최영철, & 김미선. (2022). 『귀멸의 칼날』에 나타난 신관: 일본 신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. 만화애니메이션연구, 69, 123-144.
* 최주호, & 안숭범. (2024). 『귀멸의 칼날』 속 혈귀의 상징적 함의. 스토리콘텐츠, 4(1), 45-65.
Comments 
00:00
00:00
x

0.5x

0.8x

1.0x

1.25x

1.5x

2.0x

3.0x

Sleep Timer

Off

End of Episode

5 Minutes

10 Minutes

15 Minutes

30 Minutes

45 Minutes

60 Minutes

120 Minutes

[2025-2학기 일본신앙편] 귀멸의 칼날: 영웅서사 뒤의 불편한 진실

[2025-2학기 일본신앙편] 귀멸의 칼날: 영웅서사 뒤의 불편한 진실